본문 바로가기
문화 일타

슈퍼 히어로의 MBTI는? 1편

by 일타 2022. 3. 15.
728x90

우리가 흔히들 접할 수 있는 마블과 디씨의 슈퍼히어로들이 있습니다.

모두들 각각의 캐릭터별 흥미 있는 스토리와 각자의 이야기들로 매력을 뽐내는데요.

이 글에서는 각각의 히어로들을 MBTI의 속성으로 분류하여 나누어 볼까 합니다.

나와 같은 성격의 히어로를 찾아 그 히어로가 어떤 가치관으로 나와 비슷한 선택을 하는지 찾아보는 것도 히어로 작품을 즐기는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슈퍼 히어로 별 MBTI를 찾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ISFJ / 용감한 수호자 

ISFJ유형의 슈퍼히어로

 

슈퍼맨

DC의 양대산맥 중 하나인 슈퍼맨은 MBTI유형 ISFJ유형의 히어로입니다.

슈퍼맨은 본명이 두 개인데 클립톤 행성의 본명 칼-엘(Kal-El)/ 지구의 본명 클라크 켄트(Clark Kent)로

설정상의 스펙은 191cm의 큰 키와 107kg의 든든한 체구를 가진 거구입니다.

범생이 같고 선량한 전형적인 히어로 성격으로 유명한 슈퍼맨은 사실상 본인의 의지력과 조건에 따라 무한대에 가까운 잠재력을 지닌 영웅이지만 슈퍼맨의 아이덴티티인 끝없는 선량함으로 위기상황을 타파하고 나면 평범한 기자인 자신의 삶으로 돌아가는 일상적인 영웅이자 서민적인 평소 생활을 보여줍니다. 이타주의적인 면의 슈퍼맨의 일면에서 ISFJ유형의 성격이 잘 나타나는 것 같네요.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그 능력을 타인을 위해서 사용하는 부분이 정말 훌륭해 보이는데요. 슈퍼맨 역시 '용감한 수호자'라는 MBTI의 이명처럼 어떠한 적들에게서라도 정의를 위해 맞서 지구인들을 수호해 주는 용감한 수호자라는 이름에 부끄럽지 않은 영웅 같습니다.

다른 영웅이나 악당이 슈퍼맨의 힘을 가진다면 지구의 평화를 완전히 믿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캡틴 아메리카 

마블 시빌 워의 양대산맥 중 한 명인 캡틴 아메리카는 MBTI유형 ISFJ유형의 히어로입니다.

미국 엉덩이로도 유명한 캡틴 아메리카의 본명은 스티븐 그랜트 스티브 로저스(Steven Grant Steve Rogers)로

히어로 명과 같이 실제로 미군의 대위 출신입니다. 특수 혈청을 맞고 난 이후의 설정상 스펙은 188cm의 키에 100kg의 히어로 다운 당당한 체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브라늄 방패와 어벤저스의 정신적 지주이며 토르의 묠니르를 들 수 있을 만큼 선량하고 강한 정신력이 책임감과 인내심이 강한 ISFJ유형임을 보여주는 일면 같습니다.

 

주변의 타인과 팀을 중시하는 그의 성격은 시빌 워 내의 모습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소 융통성이 없고 자신이 옳다고 믿는 신념에 대해서는 타협이 없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용감한 수호자'라는 MBTI의 이명과도 같이 주 무기를 비브라늄 방패를 사용하여 수호자의 이미지와 진동을 흡수하는 방패의 재질로 자신의 신념으로 주변의 영향을 무력화하는 성향이 성격을 잘 대변해주는 무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ISFJ유형의 슈퍼히어로들은 모두 선량하고 신념이 강한 타입들인 것이 돋보입니다.

 

INTJ / 용의주도한 전략가

INTJ유형의 슈퍼히어로

 

배트맨

DC의 히어로 중 슈퍼맨이 낮을 상징 한다면 밤을 상징하는 배트맨은 MBTI유형 INTJ유형의 슈퍼 히어로입니다. 배트맨의 본명은 브루스 토마스 웨인(Bruce Thomas Wayne)으로 우리에겐 주로 영화에서 나오던 브루스 웨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DC세계관 재벌인 웨인 그룹의 회장이기도 합니다. 설정상의 스펙은 188cm의 키에 95kg의 슈퍼맨과 비견할만한 근육질 거구로 묘사됩니다. 브루스 웨인의 어린 시절은 대개 비참하게 묘사되는데 강도에게 살해당한 부모님의 복수를 위해 히어로로 활동을 시작합니다. 비현실적일 만큼 이상주의자이자인 동시에 매우 신랄한 조롱과 비판을 일삼는 냉소주의자로의 INTJ유형의 성격 특성을 보여줍니다. 지혜와 노력, 그리고 신중함만 있으며 못할 것이 없다고 믿는 배트맨은 정확하고 계산된 움직임과 풍부한 지식을 활용하여 반신반인적 존재들이 난무하는 슈퍼 히어로들 사이에서 '장비를 갖춘 인간'으로서 수많은 악당들 사이에서 상상력이 풍부하면서도 결단력이 있게 자경단원 역할을 수행하며 고담시의 평화라는 야망이 있지만 대외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용의주도한 전략가다운 행보를 보입니다.

 

고담의 평화라는 야망을 대외적으로 표출하지 않고 낮의 브루스 웨인과 밤의 배트맨을 나누어 '불살'이라는 이상을 지키면서 악당들을 처치하는 배트맨의 모습이 '용의주도한 전략가'라는 성격유형의 행동 양식을 대변해 주는 것 같습니다.

 

 

닥터 스트레인지

마블에서 세계관 내의 최강의 마법사 '소서러 슈프림'으로 질서와 균형을 유지하며 담당하는 우주의 모든 존재를 외부 위협으로부터 지켜내는 닥터 스트레인지는 MBTI유형 INTJ유형의 슈퍼 히어로입니다. 닥터 스트레인지의 본명은 스티븐 빈센트 스트레인지(Stephen Vincent Strange)이며 우리에게는 스티븐 스트레인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직 신경외과의사였으며 스펙상 키 189cm의 큰 키와 82kg의 인간 마법사 치고는 강한 피지컬을 보여줍니다. 4차원적이고 괴짜스러운 행태를 자주 보여주기에 마블 내 가장 괴팍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히어로 중 한 명입니다. INTJ유형 쓸데없는 데 에너지를 낭비하는 법이 없는 면을 보여주듯 텔레포트 능력이 있는데도 택시를 타고 이동하는 모습과 풍부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유체이탈로 잠도 안 자고 공부하는 모습, 강인한 결단력을 보여주는 듯한 어벤저스:엔드게임 에서의 모습에서 '용의주도한 전략가'다운 성격 특성을 보여줍니다.

 

실제 MBTI상에서도 궁합이 좋은 INTJ유형ENFP 유형을 반영하듯 스파이더맨과 상당히 절친한 편입니다. 미래를 내다보고 전략을 설정하는 부분이나 시간을 다루는 아가모 토의 눈을 장비로 사용하는 것이 '용의주도한 전략가'의 성격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고 두르고 다니는 레비테이션 망토와 소서러 슈프림의 자리 역시 캐릭터의 성격적 특성을 반영한 설정 같습니다.

 

INTJ유형의 슈퍼히어로들은 다크 히어로적 특성이 강해 보이는 타입이라는 것이 특징이네요.

 

ENFP / 재기 발랄한 활동가

ENFP 유형의 슈퍼히어로

할리퀸

본래는 빌런이지만 도저히 미워할 수 없는 매력적인 캐릭터인 할리퀸은 MBTI유형 ENFP유형의 히어로입니다. 

할리퀸의 본명은 할린 프랜시스 퀸 젤(Harleen Francis Quinzel)로

설정상의 스펙은 170cm의 훤칠한 키와 52kg의 체중으로 늘씬한 체형을 가진 전문 범죄자이자 심리상담가입니다.

DC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여성 캐릭터 중 한 명으로 특유의 밉지 않은 관종 역할로 ENFP유형의 관심받고자 하는 욕구를 잘 표현해 낸 것 같습니다. 노래도 잘하고 춤도 잘 춰서 여러 부문에서 다재다능하여 분위기 메이커로서의 역할도 잘 수행하며 누구에게든 매력적으로 보이는 할리퀸이 '재기 발랄한 활동가'와는 정말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빌런인 조커의 사이드킥으로 시작하여 이렇게 사랑받는 캐릭터가 되기까지 '재기 발랄한 활동가'의 성격이 정말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물론 뛰어난 외모를 첫째로 꼽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으나, 할리퀸의 매력적인 외모는 과거부터 점점 개선되어 온 것에 반해 특유의 미워할 수 없는 악동 같은 성격과 누구와도 친해질 수 있는 친화력은 처음 할리퀸의 시작부터 함께하는 정체성입니다.

 

스파이더맨

우리의 친절한 이웃 스파이더맨, MBTI유형 ENFP유형의 히어로입니다. 스파이더맨의 본명은 피터 벤자민 파커
(Peter Benjamin Parker)로 우리에게는 미들네임이 빠진 '피터 파커'로 더욱 유명하죠 최초의 단독 주인공 10대 슈퍼히어로이자 실수가 많아 인간적인 면모와 10대로서의 성장이 돋보이는 히어로입니다. 재치 있는 수다쟁이로 유명한 히어로인 점이 ENFP유형임을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의외로 히어로 활동을 즐기면서도 끝까지 정체를 잘 숨기는 편인 것 또한 여타 히어로들과 다르게 ENFP유형의 은근한 관심을 바라는 성격을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우리들의 친절한 이웃 스파이더맨이란 별명에서도 볼 수 있듯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다른 히어로들과 달리 같은 눈높이에서 마주 볼수 있는 친밀함이 매력 포인트중 하나입니다.

 

'인간적인' 면모가 많이 강조되는 히어로에게 '재기 발랄한 활동가'유형의 성격은 정말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슈퍼 히어로들은 인간미가 많이 떨어지기 쉬운데 반해 스파이더맨은 어느 시대와 어느 시리즈에서든 특유의 인간적 매력과 성격에서 나오는 친근한 매력으로 항상 인기가 많은 히어로라는 것이 성격특성을 잘 대변해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ENFP 유형의 슈퍼히어로들은 혼잣말이 많고 재간둥이 타입이라는 점이 공통점 같아 보입니다.

ENFJ / 정의로운 사회운동가

ENFJ 유형의 슈퍼히어로

원더우먼

DC 코믹스의 등장인물이자 여성 히어로의 상징과도 같은 히어로입니다. 원더우먼은 MBTI유형 ENFJ유형의 히어로입니다.

슈퍼맨, 배트맨과 함께 DC 트리니티라고 불리며 원더우먼의 본명은 데미 스키라의 다이애나 공주(Princess Diana of Themyscira)이지만 신의 딸로서 인간으로 위장 시에는 다이애나 프린스(Diana Prince)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신의 딸답게 키 183cm에 똑똑하고 이성적이고 냉철하면서도 모두를 사랑하고 아낄 줄 안다는 완벽한 캐릭터성으로 표현되어 강한 여성/페미니즘의 상징과도 같은 캐릭터로 대표되고는 합니다. ENFJ유형답게 카리스마와 충만한 열정을 지닌 타고난 리더형 슈퍼히어로입니다. 진정으로 타인을 생각하고 염려하면서 그들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면 발 벗고 나서서 옳은 일을 위해 나서는 모습이나 다른 이들과 별 어려움 없이 잘 어울리는 모습에서 성격적 특성을 잘 살펴볼 수 있습니다.

 

능력 있는 여성의 대명사로 선한 일을 통하여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도록 사람들을 독려하고 자신뿐 아니라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람들을 동참시키고 이끄는 데에서 '정의로운 사회운동가'유형다운 리더십과 열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블 코믹스와의 콜라보 이벤트였던 Marvel vs. DC(1996)에서는 고결한 마음이 있는지 토르의 묠니르를 들기도 하고 그녀의 무장 중에 진실의 올가미(Lasso of Truth)는 올가미에 묶인 상대를 무력화하여 진실만을 말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원더우먼의 히어로적 성격특성을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로키

'장난의 신' 또는 '기만의 달인'이라는 칭호처럼, 술수와 계략, 속임수를 활용하는 데 도가 튼 신화적 존재이자 토르의 양동생이며 원더우먼과 마찬가지로 신화적 존재를 기반으로 하는 슈퍼 히어로이자 빌런입니다. ENFJ유형의 히어로 로키의 본명은 로키 라우페이슨(Loki Laufeyson)으로 오딘에게 입양된 로키의 본명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오딘에게 입양된 후의 이름인 로키 오딘슨(Loki Odinson), 장난의 신(God of Mischief) 등이 있습니다. 오딘과 프리가의 입양아로 양형 제로는 헬라와 토르가 있습니다. 본래 종족은 서리 거인 출신으로 토르가 메인으로 비치는 입장에서는 빌런으로 많이 부각되는 히어로입니다. 

 

양형 제인 형 토르의 아스가르드 왕권에 대한 뒤틀린 야망으로 빌런 등장을 처음 하는 것을 보면 '정의로운 사회운동가'유형의 리더십을 캐릭터가 표현해주는 성격이 아닐까 싶습니다. 변신 마법에 능하고 다른 사람으로 변신 마법을 사용하여 연기하는 모습이 다양한 사람의 성격을 더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ENFJ유형의 특성을 나타내 주는 장치 같습니다.

 

ENFJ 유형의 슈퍼히어로들은 주변과 잘 어울릴 수 있으며 리더십이 강한 타입이라는 점이 공통점으로 돋보입니다.

728x90

댓글